2010년 11월 9일 화요일
sitemesh
msitemesh는 spring과 같은 framwork에 부가적으로 사용하는 화면단 프레임워크다. 스프링은 일종의 마더보드 같다. 여기서 sitemesh는 그래픽 카드에 해당된다고 할까 물론 Struts와 sitemesth를 함께 사용하거나 벨로써티같은 다른 그래픽 카드를 써도 상관 없다. 더 무겁게는 struts만을 사용해도 된다.
Spring 공부
web.xml
<context-param><param-name>contextConfigLocation</param-name>
<param-value>/WEB-INF/applicationContext*.xml</param-value>
</context-param>
<listener>
<listener-class>org.springframework.web.context.ContextLoaderListener</listener-class>
</listener>
contextConfigLocation이라는 파라미터를 쓰면
Context Loader가 load할 수 있는 설정파일을 여러개 쓸 수 있다.
이 문장들이 없을 시 default로 /WEB-INF/applicationContext.xml(spring설정파일)을 쓰게 된다.
CVS 연결시 폴더안에 파일들이 숨겨져 있던 상황
1. 프로젝트를 선택하여 우클릭
2. Check Out 클릭
3. 내컴퓨터에서 받은 파일을 Check Out한 폴더에 copy
4. 이클립스에서 Project Explorer 창에 CVS에서 CheckOut한 프로젝트 확인
5. 프로젝트에서 우클릭후 Refresh 클릭
6. 끝~
2. Check Out 클릭
3. 내컴퓨터에서 받은 파일을 Check Out한 폴더에 copy
4. 이클립스에서 Project Explorer 창에 CVS에서 CheckOut한 프로젝트 확인
5. 프로젝트에서 우클릭후 Refresh 클릭
6. 끝~
2010년 11월 8일 월요일
네이버 개발자센터 알다!
팀단위 스터디를 하기 위해 svn을 사용하려고 했었다.
svn의 모체(?)로 좋은 것을 알게되었고-!
그거슨- 네이버 개발자센터!
전에 함 해봤던 위키디피아는 일단 접어두었다- 네이버 개발자 센터 사용하려고-
위키디피아는 나중에 함 사용해도 되겠니 ㅋㅋ
http://dev.naver.com/
네이버 개발자 센터 주소!
svn의 모체(?)로 좋은 것을 알게되었고-!
그거슨- 네이버 개발자센터!
전에 함 해봤던 위키디피아는 일단 접어두었다- 네이버 개발자 센터 사용하려고-
위키디피아는 나중에 함 사용해도 되겠니 ㅋㅋ
http://dev.naver.com/
네이버 개발자 센터 주소!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