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란?
What dump is?
주기억 장치의 내용을 그대로 화면이나 프린터, 파일 따위로 출력하는 일.
A work printing file or printer, screen ccontent of a main memory as it is.
이는 기억 장치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주로 오류 수정 목적으로 사용된다.
Using mysqldump for Backups
이 구간은 SQL-format dump file을 만들기 위해서 mysqldump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묘사한다.
mysqldump [arguments] > file_name
To dump all databases, invoke mysqldump with the --all-databases option:
mysqldump --all-databases > dump.sql
To dump only specific databases, name them on the command line and use the --databases option
mysqldump --databases db1 db2 db3 > dump.sql
To dump a single database, name it on the command line.
mysqldump --databases test > dump.sql
In teh single-database case, it is permissible to omit the --databases option:
mysqldump test > dump.sql
mysqldump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mysql이 설치되어있는 곳에 bin 폴더로 간다.
c:\program Files\MySQL\MySQL Server 5.5\bin
그중 mysqldump.exe 가 있으므로 이용하자.
명령어는
mysqldump -u DB계정명 -p 백업대상데이터베이스명 > 저장할파일명
mysqldump -u root -p vlfreelib > c:\mysql\backup.sql
복구 명령어는
mysql -u root -p vlfreelib < c:\mysql\backup.sql
옵션설명(Option description)
-u: 사용자명을 입력 할 것임
-p: 비밀번호를 입력 할 것임
-d: 데이타 덤프 안함
-w: WHERE절을 입력함 (단일 따옴표인 것에 주의)
-h: 호스트 (Localhost 일 경우 생략가능)
2011년 5월 16일 월요일
2010년 11월 9일 화요일
sitemesh
msitemesh는 spring과 같은 framwork에 부가적으로 사용하는 화면단 프레임워크다. 스프링은 일종의 마더보드 같다. 여기서 sitemesh는 그래픽 카드에 해당된다고 할까 물론 Struts와 sitemesth를 함께 사용하거나 벨로써티같은 다른 그래픽 카드를 써도 상관 없다. 더 무겁게는 struts만을 사용해도 된다.
Spring 공부
web.xml
<context-param><param-name>contextConfigLocation</param-name>
<param-value>/WEB-INF/applicationContext*.xml</param-value>
</context-param>
<listener>
<listener-class>org.springframework.web.context.ContextLoaderListener</listener-class>
</listener>
contextConfigLocation이라는 파라미터를 쓰면
Context Loader가 load할 수 있는 설정파일을 여러개 쓸 수 있다.
이 문장들이 없을 시 default로 /WEB-INF/applicationContext.xml(spring설정파일)을 쓰게 된다.
CVS 연결시 폴더안에 파일들이 숨겨져 있던 상황
1. 프로젝트를 선택하여 우클릭
2. Check Out 클릭
3. 내컴퓨터에서 받은 파일을 Check Out한 폴더에 copy
4. 이클립스에서 Project Explorer 창에 CVS에서 CheckOut한 프로젝트 확인
5. 프로젝트에서 우클릭후 Refresh 클릭
6. 끝~
2. Check Out 클릭
3. 내컴퓨터에서 받은 파일을 Check Out한 폴더에 copy
4. 이클립스에서 Project Explorer 창에 CVS에서 CheckOut한 프로젝트 확인
5. 프로젝트에서 우클릭후 Refresh 클릭
6. 끝~
2010년 11월 8일 월요일
네이버 개발자센터 알다!
팀단위 스터디를 하기 위해 svn을 사용하려고 했었다.
svn의 모체(?)로 좋은 것을 알게되었고-!
그거슨- 네이버 개발자센터!
전에 함 해봤던 위키디피아는 일단 접어두었다- 네이버 개발자 센터 사용하려고-
위키디피아는 나중에 함 사용해도 되겠니 ㅋㅋ
http://dev.naver.com/
네이버 개발자 센터 주소!
svn의 모체(?)로 좋은 것을 알게되었고-!
그거슨- 네이버 개발자센터!
전에 함 해봤던 위키디피아는 일단 접어두었다- 네이버 개발자 센터 사용하려고-
위키디피아는 나중에 함 사용해도 되겠니 ㅋㅋ
http://dev.naver.com/
네이버 개발자 센터 주소!
피드 구독하기:
글 (Atom)